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 27일,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함께 떠나는 특별한 기차여행의 날

by bumblebee74 2025. 4. 15.
반응형

2025년 4월 27일, 대한민국 전역에서 여행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하루가 펼쳐집니다. 바로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함께하는 기차여행의 날'입니다. 이 날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코레일이 공동 주관하는 전국 단위의 관광활성화 캠페인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보유한 누구나 혜택과 즐거움이 가득한 기차여행을 즐길 수 있는 날입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이란?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특정 지역을 지속적으로 방문하고 소비하는 관광객을 '제2의 주민'으로 인정해, 지역 주민과 유사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단순히 일회성 여행에 그치지 않고, 지역과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유도하는 디지털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전국 50여 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관광객은 지역 관광 포털이나 앱을 통해 주민증을 발급받고, 숙박, 음식, 체험 등 다양한 제휴 서비스에서 할인 또는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왜 4월 27일인가?


4월의 마지막 주말은 봄꽃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이며,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때입니다. 특히 올해 4월 27일은 일요일과 가까운 토요일로 많은 이들이 주말여행을 계획하기에 최적의 날짜입니다. 이를 활용해 '디지털 관광주민증'의 활용성을 널리 알리고, 동시에 기차여행이라는 친환경 교통수단을 장려하려는 것이 이번 행사의 취지입니다.



기차여행과 결합된 특별 프로그램


이 날 전국 주요 기차 노선에는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연계된 다양한 테마기차가 운행됩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노선들이 있습니다:

1. 강릉행 바다열차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운행되는 이 특별 열차는 바다 전망을 감상하며 지역 먹거리 체험과 커피 박물관 견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소지자는 강릉 지역의 카페, 식당, 숙소 등에서 최대 3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남도맛기차 (순천/광양 방면)

봄철 남도의 벚꽃과 유채꽃이 어우러진 순천만국가정원과 광양 매화마을 등을 탐방하는 일정으로 구성됩니다. 지역 특산물 시식, 전통시장 할인쿠폰 제공, 순천 관광해설사 동행 등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연계된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3. 부산 문화기차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문화 테마 열차로, 부산역 도착 후 감천문화마을, 국제시장,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코스가 포함됩니다. 부산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미리 발급받으면 주요 관광지 입장료 할인과 더불어 지역 기념품도 증정됩니다.



혜택은 무엇이 있나?


4월 27일 당일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혜택이 디지털 관광주민증 소지자에게 제공됩니다:


기차요금 할인: 행사에 참여하는 관광지로 향하는 KTX 및 일반 열차의 왕복 요금 최대 50% 할인 (사전 예약자에 한함)

관광지 무료입장 또는 할인입장: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관광지에서 무료 또는 최대 70% 할인 제공

지역 식당·카페 쿠폰 제공: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연계된 제휴 식당에서 최대 1만 원 상당의 쿠폰 또는 무료 음료 제공

기념품 및 체험 프로그램 제공: 지역 특산품, 로컬 작가와의 워크숍, 도예·한지·천연염색 체험 등 참여 가능



참여 방법


기차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간단한 절차로 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선 디지털 관광주민증 공식 홈페이지 또는 지역 관광 포털에서 방문하고 싶은 도시의 관광주민증을 무료로 발급받습니다. 이후 코레일 홈페이지나 여행사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관광주민증 연계 기차여행 상품’을 예약하면 됩다. 일부 노선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사전 예약이 권장됩니다.


이벤트와 SNS 챌린지도 가득


4월 27일 당일, 여행을 즐기고 SNS에 해시태그와 함께 인증샷을 올리면 다양한 경품 이벤트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관광주민증 #기차여행의날 해시태그를 활용하면 추첨을 통해 지역 숙박권, KTX 왕복권, 기념 굿즈 세트 등이 제공됩니다.



지속 가능한 관광의 시작점


이번 ‘기차여행의 날’은 단순한 여행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의 시작점으로서의 상징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지역과 관광객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장거리 이동 시 탄소배출이 적은 기차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 관광을 실현하는 모델을 보여주는 셈입니다. 아울러, 여러 번 방문하고 싶은 ‘제2의 고향’을 찾는 여정으로서의 여행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반응형